지방에 녹는 특성이 있는 플라스틱류는
대부분이 가소제와 첨가제를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그러한 성분들이 지방에 녹아 내려 음식에 섞일 수 있으므로 위험하단다. 식기류는 나무로 유리로 된 그륵이거나 무늬가 없는 흰색도기를 쓰는 편이 안전하단다.
플라스틱에 표기된 번호 이야기
플라스틱에 열과 힘을 가하면 녹는 특성을 가지고 있지. 그리고 이러한 특성 때문에 다른 형태로 가공또한 가능한 것이란다. (우리는 이것을 "열가소성"이라 불러)
그런데 이런 열가소성 플라스틱도 종류에 따라서 녹는 온도와 가공 조건 등이 달라.
녹는 온도와 가공 조건이 다른 플라스틱 끼리 섞이게 되면 가공을 할 수 없게 되기도 한단다.
그래서 같은 특성(같은 녹는 온도와 가공 조건등을 갖는)을 가진 종류끼리 모을 수 있게 번호를 붙이고 있단다.
이것을 우리는 "리사이클링분류번호"라고 부르지
버려진 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해 다시 가공해서 사용하는 데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만드러진 것이라고 볼 수 있지
그 번호는 1번에서 7번까지 있고
1번은 PET 혹은 PETE병 그룹이야
보통 생수병, 음료수 병, 케첩 용기 등이 이에 속해
그나마 안전한 편이야
2번은 HDPE그룹
2번 그룹의 플라스틱류도 그나마 (환경호르몬으로부터) 안전한 편이야.
보통 딱딱하고 불투명한 플라스틱이 여기에 속해
우유나 쥬스 병이 이에 속하지
3번은 PVC
PVC는 제조과정에서부터 몸에 해로운 염산가스가 발생하게 된단다. 특히, 연질 PVC(말랑말랑한)의 경우, 과량으로 들어간 가소제 성분(환경호르몬)이 사용중에 밖으로 나올 수도 있단다. 또한 소각시에도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월남전 당시 살상용 무기로 쓰여졌던....)이 나온단다.
생성부터 소각까지..인간과 지구와 환경에게 뭐하나 이로울 게 없는 것이지
특히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사용중에 환경호르몬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점이야...
연질 PVC는 랩이란다. (다행히 한국에서 판매되는 랩은 무조건 4번 LDPE그룹에 속한단다.)
착착 감기는 맛이 있고, 서로 잘 들어붙는 성능이 뛰어나다고 느끼면 100% 연질PVC로 만들어진 것이니....피해라
LDPE로 만들어진 랩은 서로 잘 붙지도 않고, 사용감이 좋지 않단다.
적당히 불편해도 괜찮단다.
4번은 LDPE
5번은 PP그룹
6번은 PS그룹
환경 호르몬이 발생되는 플라스틱 그룹이야
대표적인 것이 '스티로폼styrofoam'이야. 병이나 장난감 재료로도 사용되지. (장난감에 사용된다니....찾으면서도 놀랬다.)
컵라면 용기 역시 PS로 만들어진 것이지.
그런데, 스티로폼은 재활용쓰레기가 아닌거 알지?
가능하면 안 쓰는 게 제일 좋고, 아니면 집에서 녹여서 없애렴(4번에 보면 녹이는 방법이 나와있단다. http://www.wikihow.com/Reuse-Styrofoam)
7번은 Other그룹인데...
7번으로 분류된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불가하고, 소각되거나 바닷속에 묻히게 되겠지.
커다란 물통을 dispenser 위에 뒤집어 얹어서 마시도록 물 사서 드시는 분들
물통 재질이 뭔지 한 번 살펴보세요.
PC를 쓰는 경우가 상당히 많답니다....
깨끗한 물 마시려다 환경 호르몬 가득한 물을 마시게 되는 거죠.
-----------------------------------------------
본 블로그의 게시물들은
지속적으로 수정 및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잘못된 정보나 추가 새로 알게 된 정보들 위주로)
언젠가 보게 될 까꿍이를 위해...^^
-----------------------------------------------
댓글 없음:
댓글 쓰기